분류 전체보기54 헤지펀드 전략_레포 이전 글에서 헤지펀드가 베이시스 트레이드 전략을 사용하여 파산하였다고 언급했다.헤지펀드가 자주 사용하는 전략인 레포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다. 전략 이 전략은 미국 국채의 안정적인 수익률과 단기 조달금리 간의 금리 차이(스프레드)를 활용해 레버리지 효과를 극대화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다. 과정을 단계별로 뜯어보면 이렇다. 1단계: 초기 국채 매입헤지펀드는 기초자본(예: 1억 달러)을 활용해 미국 국채(예: 10년물)를 매입한다.이 국채는 연 3% 수익률을 지급하는 안전자산이다.2단계: 레포 시장에서 자금 조달매입한 국채를 레포(Repo, 환매조건부채권) 거래에 넘겨 담보로 단기 자금을 빌림.이때의 조달금리(Repo Rate)는 시장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어 1.5%라고 하자.이 레포 자금은 국.. 2025. 4. 14. 미국채 10년물과 일본 헤지펀드의 파산(지라시) 일본 헤지펀드가 미국채 10년물에 60배 레버리지 투자를 하다가 파산했다는 지라시가 돌고 있다.지라시에 의하면 일본 헤지펀드는 베이시스 트레이드를 하다가 파산을 했다고 한다.베이시스 트레이드가 무엇인지 알아보겠다. 베이시스 트레이드 전략베이시스 트레이드는 쉽게 말해 현물과 선물 간의 가격 차이를 이용해서 수익을 얻는 전략이다. 여기서 '현물'은 시장에서 지금 당장 거래되는 실제 국채이고, '선물'은 미래의 특정 시점에 국채를 사고팔겠다는 계약이다. 예를 들어 지금 시장에서 국채 현물이 100달러에 거래되고 있지만, 앞으로 3개월 뒤에는 같은 국채를 101달러에 거래하기로 약속하는 선물 계약이 있다고 생각해보자. 시간이 지나면 현물과 선물의 가격은 점차 가까워져 결국 같은 가격이 된다. 즉, 100달러와.. 2025. 4. 12. 미국채 10년물 입찰결과 4월 9일(미국 현지시간 기준) 10년물 입찰 결과가 발표됐다. 10년물 국채가 4.435%에 낙찰되었다.미국채는 총 455억 달러가 나왔고이중 연준이 65억 달러 어치 재매입, 시장엔 390억 달러가 나온 것이다.입찰 경쟁률을 계산할 땐 입찰금과 입찰 신청금을 비교하면 된다.1,038억 달러 입찰 신청이 들어왔고, 389억 달러가 입찰되었다. 경쟁률은 2.66 : 1이다.작년 평균 2.54 : 1으로 수요는 양호하다고 볼 수 있다. 수요 측면에선 문제가 없으나 미국채 10년물 가격이 떨어지고 있다.(채권은 가격이 내려가면 금리가 오른다.)관세 정책으로 인한 중국의 매도인지, 엔캐리 공포 때문인지, 관세 정책의 영향인지아직 미국채 하락의 원인에 대해선 명확히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모든 일에.. 2025. 4. 11. 트럼프 관세 정책, 다른 해석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수입품에 최대 1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다른 나라 제품에는 90일 유예기간을 두고 기본 10% 관세만 부과한다는 점에서, 이 조치는 중국을 겨냥한 경제 압박으로 해석된다.그러나 조금 더 깊이 들어가면, 이 관세 정책은 단순한 패권 경쟁이나 무역 조정이 아닌, 미국이 수십 년간 중국에 가졌던 전략적 기대가 무너진 데 대한 응징으로 해석할 수 있다.이 글에서는 왜 트럼프가 관세를 무기로 중국을 정조준하는지, ‘배신당한 미국’이라는 시각에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중국은 달라질 것이다”라는 미국의 착각체제 변화를 유도한 경제적 개방1979년: 미·중 수교1980년: 중국에 최혜국 대우(MFN) 임시 부여2000년: WTO 가입을 전제로 PNTR 부여 → 이후 미·중 교역 폭.. 2025. 4. 10. 이전 1 2 3 4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