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엔화가치가 떨어지자 일본 정부가 5조 엔가량 환율 개입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내용 간단히 알아보겠다.
https://www.mk.co.kr/news/world/11004808
달러당 엔화값 157엔 후반으로…정부 5조엔 개입 관측에도 약세 - 매일경제
일본 정부 시장 개입 관측에도 달러당 엔화값 다시 157엔대로 엔화값 170엔대까지 떨어지면 수입물가 자극해 물가 더 올라 실질임금 플러스 전환 어려워져
www.mk.co.kr
환율이 낮으면 엔저인지 높으면 엔저인지 간단히 설명 후 내용에 들어가겠다.
24년 5월 7일 10시 20분 현재 달러/엔 환율은 154.22엔이다.
엔화로 1달러를 사는데 드는 비용이 154.22엔이라는 말이다.
그래서 달러/엔 환율 숫자가 커지면 그만큼 엔화 가치가 낮아졌다는 의미이다.
목차
1. 일본 정부 환율 개입 배경
2. 엔화 환율 정책 전망
1. 일본 정부 환율 개입 배경
- 일본 정부의 환율 개입 배경은 다양한 경제적, 사회적 요인에 기인한다.
- 가장 큰 요인은 미국과 일본의 금리차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출처 : 국제금융센터 - 지속적인 엔저 현상은 일본 경제에 여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엔화의 가치 하락은 수입 물가를 상승시키고, 이는 다시 소비자 물가 전반에 걸쳐 인플레이션 압력을 증가시키는 주된 요인이 된다.
- 일본은 대부분의 에너지 자원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식료품과 원자재 또한 상당 부분을 해외에서 들여오고 있어 환율 변동에 매우 민감하다.
- 따라서 엔저는 직접적으로 수입품 가격을 끌어올려 가계의 생활비 부담을 증가시키고, 경제 전반의 인플레이션을 초래한다.
2. 엔화 환율 정책 전망
- 환율 시장 개입
- 일본 정부는 엔화 가치의 급격한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시 시장에 직접 개입하고 있다.
- 이러한 개입은 주로 대규모 엔화 매수로 이루어져, 단기적으로 환율을 안정시키는 효과를 노린다.
- 일본은 과거에도 시장 개입을 통해 환율 변동성을 조절한 경험이 있으며, 이는 엔화 약세가 지속될 경우 다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출처 : 국제금융센터 - 이를 위해 외화 보유액 예치금을 크게 늘린 것으로 파악된다.
출처 : 국제금융센터
- 금리 인상
- 일본이 24년 4월 26일 기준 금리를 동결을 발표하였다.
- 이후 155.6(25일)에서 158.1(26일) 까지 엔화 환율이 크게 오른 모습이다.
출처 : 구글 - 이후 환율 시장 개입을 한 것을 보면 환율 마지노선을 160엔으로 보고 있는 것 같다.
- 이런 상황에서 다음 금리 발표 시기에 금리 인상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42711157
기준금리 동결하자 달러당 158엔…엔화 가치 34년만 최저
기준금리 동결하자 달러당 158엔…엔화 가치 34년만 최저, 일본은행 완화적 정책에 엔저 가속
www.hankyung.com
- 임금 인상 압박
- 2023년 일본의 실질임금은 전년 대비 2.5% 감소했다고 닛케이 신문이 보도했다.
- 이는 물가 상승률이 3.8%에 달해 임금 인상을 따라잡지 못한 결과이다.
- 그래서 일본 정부는 기업에게 임금 인상에 대한 압박을 시행하였다.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31317350002432
노조 요구보다 많은 14% 인상까지... 일본 대기업 역대 최대 수준 임금 인상 | 한국일보
엔화 약세로 큰 이익을 본 일본 대기업이 25년 만에 최대 폭으로 임금을 인상하고 있다. 다수 기업이 인상 폭이 가장 컸던 지난해를 웃도는 임
www.hankookilbo.com
- 그 결과 일본 노사는 33년 만에 최대 규모인 5.28%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 https://biz.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economy/2024/03/15/ZEX5LXIKWBD6FCO6WUIC7US27M/
日 최대 노조 “임금 5.28% 인상”… 33년 만의 최대폭
日 최대 노조 임금 5.28% 인상 33년 만의 최대폭
biz.chosun.com
일본 정부는 엔화 환율 마지노선을 160엔으로 보는 것 같다.
6월 14일 다음 금리 발표 가 있을 예정이다.
4월 금리 동결로 엔화 환율이 급락했던 것을 보고 금리 인상을 할지, 또 동결을 하고 외화 보유액을 충분히 비축해 둔 것을 사용할지가 포인트가 될 것 같다.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4월 외국인 투자와 외환보유액 동향 (0) | 2024.05.09 |
---|---|
버크셔 해서웨이 현금 보유량 최대 (0) | 2024.05.08 |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가이드라인 공개 (0) | 2024.05.05 |
미국 2분기 국채 발행 계획(QRA) (0) | 2024.05.03 |
미 연준, 5월 FOMC 발표 요약 (0) | 2024.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