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y

미국 대선, 트럼프 당선 시 한국에 미치는 영향

by Beer_Pepperoni 2024. 5. 12.

지난 포스팅에 이어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어떤 관세 정책을 펼쳤는지, 트럼프 당선 시 한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다.

2024.05.11 - [Economy] - 미국 대선, 트럼프 당선 시 정책 전망

 

미국 대선, 트럼프 당선 시 정책 전망

24년 11월 5일 미국 대선이 있을 예정이다.트럼프가 당선되면 어떤 정책 변화가 있을지 알아보겠다. 목차1. 주요 일정2. 바이든, 트럼프 지지율 비교3. 바이든, 트럼프 주요 정책 비교 4. 트럼프 당

beer-pepperoni.tistory.com

 

목차

1. 트럼프 1기 관세 정책
2.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1. 트럼프 1기 관세 정책

  • 트럼프 행정부는 「무역법」의 201조와 301조, 그리고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하여 대대적인 보호무역 조치를 도입하였다.
  • 무역법 201조
    • 2018년 2월, 트럼프 행정부는 태양광 셀/모듈과 대형 가정용 세탁기 및 부품에 세이프가드 조치를 적용하였다.
    • 이 조치는 불공정 무역행위의 존재 여부와 무관하게 시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 태양광 셀/모듈에 대해서는 2.5GWh를 초과하는 수입 물량에 대해 첫 해인 2019년에는 30%의 관세가 부과되었고, 이는 4년 동안 점차 감소하여 2022년에는 15%까지 낮아졌다.
    • 대형 가정용 세탁기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관세율 쿼터에 따라 20%에서 50% 사이의 관세가 추가로 부과되었다.
  • 무역법 301조
    • 1차 관세부과 조치
      • 2018년 7월에 연간 340억 달러 규모, 818개 품목에 대해 25%의 추가 관세가 부과되었다.
      • 이 관세는 주로 기계(51%), 전자제품(27%), 운송장비(21%)에 집중되었다.
    • 2차 관세부과 조치
      • 2018년 8월에 연간 160억 달러 규모, 279개 품목에 대해 25%의 추가 관세가 부과되었다.
      • 이는 화학(51%), 기계(16%), 운송장비(15%), 전자제품(12%) 등에 집중되었다.
    • 3차 관세부과 조치
      • 1차, 2차에 비해 범위가 대폭 확대된 3차 관세부과 조치는 2019년 5월에 무려 연간 2,000억 달러 규모, 5,745개 품목에 적용되었다.
      • 이 조치는 화학(24%), 농업(20%), 섬유(17%), 광물(14%), 목재(9%)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처음에는 10%의 관세가 부과되었으나 이후 25%로 상향 조정되었다.
    • 4차 관세부과 조치
      • 3차보다도 한층 더 규모가 커진 4차 관세는 연간 3,000억 달러 규모로, 2019년 9월에 두 단계에 걸쳐 부과되었다.
      • 1단계에서 농업(36%), 섬유(21%), 광물(15%) 등 3,729개 품목에 적용되었으며, 2020년 1월에는 미·중 간 1단계 무역합의(Phase One Trade Deal)로 2단계 관세부과 계획이 철회되고, 1단계 품목에 대해서는 도입 당시 10%에서 소폭 인하한 7.5%로 관세율이 조정되었다.
  • 무역확장법 232조
    • 미국은 2018년 3월, 한국을 포함한 다수 국가에 철강에 대해 25%, 알루미늄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였다.
    • 초기에는 안보 관계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한국을 해당 조치에서 일시적으로 배제하였으나, 결국 2018년 6월에는 철강에 대한 쿼터와 2018년 5월에는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가 한국에 부과되었다.
    • 이러한 조치는 글로벌 무역 환경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한국과 같은 주요 철강 및 알루미늄 수출국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이외에도 주한미군 분담금을 더 높힐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과 중국사이에 있는 약소국은 서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