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먼 브라더스는 1850년에 설립된 금융 서비스 회사임
40개 이상의 국가에서 운영되는 세계에서 가장 큰 투자 은행 중 하나로 성장 했음
2000년대 초 리먼브러더스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대출에 크게 관여하여 결국 파산으로 이어짐
6,700달러 규모로 당시 세계 최대 규모 파산으로 기네스에 등재됨

1. 서브 프라임 사태 간략 정리(2007~2010)
- 닷컴 버블 붕괴(1995~2001) 이후 경제 활성화를 위해 FED는 저금리 정책을 펼침

- 이로 인해 주택 가격이 크게 상승함

- 주택 가격 인상률이 은행 이자율보다 높아지자 많은 사람들이 대출을 못 갚더라도 집을 팔아 갚으면 된다고 생각함
- 은행은 신용이 안 좋은 사람(서브 프라임 등급)한테도 주택 담보 대출을 해줌
- 신용이 안 좋은 사람도 대출을 받아 주택을 구매함
- 이를 금융 기관과 투자 은행들은 대출 채권을 증권 형태의 금융 상품(CDO)으로 판매함
- 집을 살 사람이 줄어들자 대출 이자율보다 집값 상승률이 하락함
- 집값으로 대출을 갚을 수 없게 되자 서브 프라임 등급의 사람들이 채무 불이행 선언을 하며 담보인 주택을 포기함
- 대출 채권을 기반으로 한 금융 상품이 휴지조각이 됨
2. 파산 원인
서브프라임 모기지
- 파산 직전까지 리먼 브라더스는 모기지 증권, 특히 서브프라임 모기지 증권에 많은 투자를 했음
- 위에 설명했듯이 증권들은 신용이 좋지 않은 대출자들에게 발행되었고, 높은 채무 불이행률이 특징이었음
-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 담보 대출) 위기가 닥치자 리먼브러더스의 투자는 가치를 잃기 시작했음
- 금융기관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투자자와 고객들은 리먼브러더스에 대한 신뢰를 잃기 시작함
- 자금과 유동성 손실로 이어져 회사의 재정난을 더욱 악화시킴
레버리지(leverage)
- 리먼브러더스는 레버리지(leverage)가 높았는데, 이는 투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많은 돈을 빌렸다는 것을 의미함
- 이로 인해 자산 가치의 변동에 취약해짐
- 주택담보부증권의 가치가 하락하면서 리먼브러더스의 부채가 자산을 초과하기 시작함
유동성이 낮은 자산
- 리먼브러더스의 자산 중 상당수가 유동성이 없어 쉽게 매각하거나 현금으로 바꿀 수 없는 상황이었음
- 여기에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계기로 매각이 어려워진 모기지담보부증권 보유가 포함되어 있음
- 이는 리먼브러더스가 의무를 이행하는 데 필요한 현금을 조달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다.
3. 리먼 사태 여파
신용 위기
- 리먼 브라더스의 파산은 대출자들이 서로 신용을 확장하는 것을 주저하게 되면서 신용 경색을 야기함
- 이는 심각한 유동성 위기를 초래하여 기업들이 운영 자금을 조달하기 어렵게 만들어 투자와 고용을 줄임
글로벌 금융 위기
- 리먼브러더스 파산은 전 세계 주식시장이 급락하고 경제가 위축되는 등 글로벌 금융위기를 촉발함


- 위기는 다른 나라로 빠르게 확산되었고 주택, 자동차, 은행과 같은 산업에 영향을 미침
정부 구제금융
- 전 세계 정부는 금융 시스템에 대한 추가적인 시스템 위험을 막기 위해 많은 대형 은행과 다른 금융 기관들을 구제해야 했음
- 미국 정부는 금융 시스템을 안정시키고 시장에 유동성을 주입하기 위해 자산 구제 프로그램(TARP)을 만듦
대규모 실업
- 금융위기는 많은 기업들이 직원을 해고하거나 파산하는 등 대규모 일자리 감소로 이어짐
- 실업률은 많은 나라에서 증가했고, 몇 년 동안 지속된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이어짐


규제 강화
- 리먼 사태는 세계 각국 정부가 위기의 재발을 막기 위한 새로운 법과 규제를 시행하는 등 상당한 규제 변화를 가져왔음
- 금융개혁 및 소비자 보호법(Dodd-Frank Wall Street Reform and Consumer Protection Act), 바젤Ⅲ 등 규제 강화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란-이스라엘 관계 정리 (0) | 2024.04.17 |
---|---|
금리와 은행 (2) | 2023.03.23 |
석유의 전망 (0) | 2023.03.17 |
크레딧 스위스(Credit Suisse) (0) | 2023.03.16 |
채권(Bonds) (2) | 2023.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