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y

이란-이스라엘 전쟁 시 영향

by Beer_Pepperoni 2024. 4. 18.

2024년 4월, 이스라엘의 이란 영사관 폭격으로 이란 혁명수비대의 고위급 지휘관 등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 사건은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기존 충돌에 더해져 중동 전역에서의 긴장이 고조되었으며, 이로 인해 제5차 중동 전쟁 발발의 위험이 커졌다는 분석이 제시되었다. 이란과 이스라엘의 전쟁이 시작되면 어떤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겠다.

출처 : 연합뉴스, 이란-이스라엘 분쟁 정리

목차
1. 중동 지역 확전
2. 에너지 쇼크
3. 세계 인플레이션 자극
4.대한민국에 미치는 영향

 

1. 중동 지역 확전 

  1. 이스라엘은 하마스와의 지속적인 갈등 상황 속에서 이란과의 추가적인 군사 충돌 가능성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복잡한 안보 환경에서 이스라엘의 주된 전략은 하마스를 신속하게 제압함으로써 이란과의 본격적인 군사 충돌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2. 이스라엘과 이란 간에 직접적인 군사 충돌이 발생할 경우,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은 이란의 지역적 경쟁국들이 이스라엘을 지원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국가들은 이란에 대한 국제적 압력을 강화하고, 필요한 경우 군사적 지원을 제공하는 등의 방식으로 간접적 혹은 직접적으로 개입할 수 있다.
  3. 이란은 중동 지역에서의 영향력을 활용하여 이스라엘에 압박을 가할 수 있다. 특히, 레바논의 헤즈볼라나 예멘의 후티 반군과 같은 대리군을 통해 이스라엘을 공격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지역 내 이란의 영향력을 활용한 전략적 수단이 될 수 있다.

2. 에너지 쇼크

  1.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 
    빨간 색 표시 지역 : 호르무즈 해협
    • 호르무즈 해협은 걸프 해역의 입구로, 이란과 오만 사이의 좁은 바닷길이다.
    • 세계적 산유국(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쿠웨이트) 석유 운송로이다.
    • 매일 전세계 원유 공급량의 20%, LNG 공급량의 25%가 통과한다.
    • 한국의 수입 원유 72%가 이 해협을 통과.
    • 이란이 이 해협을 봉쇄할 경우 전 세계 공급망에 차질이 생기며,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이 급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 EIA, Hormuz 지역을 통과하는 원유 생산국과 수입국
  2. 주변국의 참전으로 석유 생산량 감소 예상
    순위 국가명 생산량 증감율(전년대비) 세계 점유율
    1 미국 17,770 +6.5 18.9
    2 사우디아라비아 12,136 +10.8 12.9
    3 러시아 11,202 +1.8 11.9
    4 캐나다 5,576 +3.0 5.9
    5 이라크 4,520 +10.2 4.8
    6 중국 4,111 +2.9 4.4
    7 UAE 4,020 +10.4 4.3
    8 이란 3,822 +4.6 4.1
    9 브라질 3,107 +3.9 3.3
    10 쿠웨이트 3,028 +12.0 3.2
    (자료 : 미국 에너지 정보청, 2022년 국가별 원유 생산량(단위 : 천 배럴, %))
    • 중동은 세계 주요 석유 생산 지역으로 주변국이 참전하면 관련 시설 파괴 및 생산 중단 등으로 국제 유가에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

3. 세계 인플레이션 자극

  1. 유가상승과 인플레이션
    출처 : FED, 유가가 10% 상승하면 전체 CPI가 0.4% 증가하는 효과 발생
    • 직접 비용 증가
      • 유가상승은 에너지 비용을 직접적으로 증가시킨다.
      • 이는 에너지를 직접적으로 소비하는 산업뿐만 아니라, 에너지 비용이 생산 과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에서도 비용을 증가시킨다.
      • 이렇게 증가된 비용은 최종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에 반영되어 소비자 가격지수(CPI) 상승으로 이어진다.
    • 생산 비용 증가
      • 제조업, 교통업, 농업 등 여러 산업에서는 연료비가 중요한 비용 요소이다.
      • 유가 상승은 이러한 산업의 생산 비용을 증가시키고, 이는 다시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소비자들에게 비용 부담을 전가시킨다.
    • 운송 및 물류 비용 증가
      • 유가 상승은 운송 및 물류 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이는 상품의 유통과정에서 비용 증가를 초래하며, 이는 소매 가격에 반영되어 전체적인 소비자 가격 수준을 높인다.
    •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
      • 유가 상승은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 인플레이션 기대를 높인다.
      • 이러한 기대는 임금 협상, 상품 가격 설정 등에서 더 높은 인플레이션을 예상하는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인플레이션을 자극하는 순환적 효과를 낳는다.
  2. 유가와 미국 금리
    • 3-1번(유가 상승과 인플레이션)의 내용과 같이 유가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증가시킨다.
    • 인플레이션 압력이 증가하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이를 관리하기 위해 금리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
    • 이는 Fed의 기존의 금리 인하 계획을 늦춰지게 만들 수 있다.

4. 대한민국에 미치는 영향

  1. 석유 공급 차질
  2. 정부 대응

 

 

이란-이스라엘 간의 분쟁은 중동 지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킬 것이다. 특히 대한민국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심각할 수 있다. 전쟁 발발 시 정부 대응이 중요해 보인다.

2024.04.17 - [Economy/The Middle East] - 이란-이스라엘 관계 정리

 

이란-이스라엘 관계 정리

중동 지역의 안보와 정치를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두 국가, 이란과 이스라엘. 이 글은 이 두 나라 간의 복잡하고 긴장된 관계의 역사와 최근 상황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목차 1. 이스라엘 건국 2.

beer-pepperoni.tistory.com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4월 16일, 장중 환율 1400원  (0) 2024.04.21
비트코인 반감기  (0) 2024.04.20
이란-이스라엘 관계 정리  (0) 2024.04.17
금리와 은행  (2) 2023.03.23
리먼 브라더스(Lehman Brothers) 파산  (4) 2023.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