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y

국내 상장폐지 사유 발생

by Beer_Pepperoni 2025. 3. 29.

국내 상장폐지 사유 발생 종목이 25년 들어 총 41건(스팩 제외)이 발생했다.

대상 업체 중 평소 관심 있던 이차전지 테마주로 한때 시총 10조 원에 육박했다. 금양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다.

(티스토리 리스트 기능을 잘 사용하지 못하겠다. 양해 바라며 점차 보완해 나가겠다.)

출처 :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503261543227663

 

"내 종목도 휴지 조각 될까" 이달에만 상장사 35곳 '상폐 사유' 발생

상장폐지 위기에 직면한 기업들이 늘고 있다. 감사보고서에서 감사인 '의견 거절'을 받으면 상장폐지 사유에 해당해 3월은 전통적으로 '상장폐지의 달'로 통한다. 특히 소액주주 비중이 높은 기

www.fnnews.com

 

 

상장폐지 사유 발생 업체 리스트는 아래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kind.krx.co.kr/investwarn/adminissue.do?method=searchAdminIssueList#

 

대한민국 대표 기업공시채널 KIND

 

kind.krx.co.kr

 

출처 : 네이버

1. 금양 재무 현황

  • 기존 발포제 기업에서 이차전지 산업에 뛰어들며 몽골, 콩고에서 리튬, 텅스텐 광산 확보에 나섰다.

출처 : 24년 사업보고서, 콩고, 몽골 광산 관련 내용

 

  • 부산에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는 등 공격적인 확장 시도를 했다.

출처 : 24년 사업보고서, 공시일자 25.3.21 기준 부산 기장 공장 건설 중

  • 위처럼 공격적인 투자를 진행 중이지만 매출은 아직 발포제에서 나오는 상황이다.(기존 이차전지 관련 투자 건은 기재하지 않았다.)
    출처 : 주주총회소집공고(25.03.14)
  • 이 상황에서 콩고 광산 3차 투자금 USD 6,050,000을 25년 7월 11일까지 납부해야 하는 상황이며, 현금 자산은 전기(69기) 대비 반토막난 상황으로 자금조달이 필요한 상황이다.

출처 : 24년 사업보고서
출처 : 주주총회소집공고(25.03.14)

2. 몽골 광산 예상 성과 불성실 공시

  • 24년 이후 3개년의 예상 매출과 영업 이익이 크게 낮아진 모습이다.

좌 : 장래사업 경영계획(23.5.10), 우 : 정정 공시(24.9.27)

  • 그로 인해 벌점 10점을 부과받으며 1년 이내 추가로 5점을 더 받으면 관리종목에 들어가는 상황이다.

출처 : 불성실공시법인지정(24.10.28)

3. 유상증자 철회

  • 24년 9월 27일 4,500억 규모 유상증자 결정

출처 : 주요사항보고서(24.9.27)

  • 금감원, 금양의 증권신고서 기재 미흡 등을 이유로 정정신고서 제출 요구로 유상증자 절차가 장기간 지연됐다.

출처 : 정정신고서(24.11.8)

  • 결국 장기간 지연으로 인한 주가 하락으로 당초 목표했던 기대 가치 달성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유상증자를 철회하였다.

출처 : 네이버, 유상증자 발표 시점, 당초 계획했던 수량으로는 4,500억 유증 불가능

  • 이로 인해 25년 3월 4일 벌점 7점을 받아 누계 17점으로, 1일 거래정지 및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되었다.

4. 상장폐지 사유 발생

  • 1~3번에서 알아본 내용과 같은 상황으로 인해 감사보고서에서 계속기업 존속불확실성 사유에 해당하여 상장폐지 기준이 충족되었다.
  • 25년 4월 11일까지 이의신청이 없으면 상장폐지 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좌 : 감사보고서(25.3.21), 우 : 투자유의안내(25.3.21)

 

 

 

해당 포스팅에는 금양 주주분들께 불편함을 드릴 수 있는 자극적인 표현이나 비난성 내용을 최대한 배제하고자 했다. 다만, 이번 사례에서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은 기업의 불성실 공시가 주주 신뢰에 미치는 영향이다.

특히 몽골 광산 관련 실적 전망 정정, 유상증자 철회 등 중요한 경영 정보가 반복적으로 번복되면서, 시장의 혼란과 소액주주들의 불안을 초래한 것은 부정할 수 없다.

책임 있는 공시와 주주에 대한 성실한 설명 노력은 기업의 기본이라는 점에서, 향후 보다 주주 친화적인 정보 공개와 소통이 이뤄지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