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y

트럼프 1기, 2기 관세 전쟁 비교

by Beer_Pepperoni 2025. 4. 8.

트럼프의 두 번에 걸친 관세 전쟁은 모두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근간으로 삼았지만, 각각의 목표와 방식은 뚜렷이 구분된다. 아래에서는 각 관세 전쟁의 특징과 차이점을 간단히 비교해 보겠다.

출처 : 한국무역협회, 19년 일본 G-20 정상회의

 

목표와 방식 비교

구분 트럼프 1기 트럼프 2기
주요 타깃 중국 전 세계
주요 목표 무역적자 해소, 중국의 기술 강제 이전 저지 세수 확보, 공급망 리쇼어링, 제조업 복귀 유도
부과 범위 품목별 단계적 확대 전 품목 기본 10% + 국가별 추가 고율 
중국 협상 태도 갈등 후 협상(1단계 무역합의) 협상 거부, 보복과 경고 반복

 

1기 주요 히스토리

날짜 사건 요약
2018.3.22 섹션 301 조사 결과 발표 및 중국산 제품 관세 예고 지재권 침해 대응
2018.4.2 중국, 미국산 돼지고기·과일 등 128개 품목에 보복 관세 부과 맞불 시작
2018.7.6 미국, 중국산 제품에 25% 관세 발효, 중국도 보복 관세 부과 무역전쟁 공식 개전
2018.9.24 美, 중국산 제품에 10% 추가 관세 → 2019년부터 25%로 인상 예정 보복과 재보복 반복
2019.5.10 기존 품목의 관세율 10% → 25% 인상 협상 결렬 이후 보복성 조치
2019.8.1 트럼프, 중국산 제품에 추가 10% 관세 부과 예고 관세 총공세 선언
2020.1.15 '1단계 무역합의' 체결 협상

 

2기 주요 히스토리

날짜 사건 요약
2025.2.1 중국, 캐나다, 멕시코 대상 1차 관세 명령: 10~25% 트럼프 2기 관세 시작
2025.3.4 중국 대상 관세율 20%로 인상 갈등 확대
2025.4.2 ‘해방의 날’ 선언: 전 수입품에 기본 10% 관세 부과 글로벌 관세 전면화
2025.4.5 고율 관세 적용: 중국(54%), EU(20%), 한국(25%), 일본(24%), 베트남·캄보디아(46~49%) 국제적 충돌 본격화
2025.4.7 중국, 34% 보복 관세 부과 / 트럼프, 추가 50% 관세 경고 갈등 심화

 

주요 국가 반응

구분 트럼프 1기 트럼프 2기
중국 대등한 보복 + 협상 참여 (1단계 합의) 34% 보복 관세 + “끝까지 싸운다” 강경 대응
EU 오토바이, 위스키, 청바지 등에 보복 관세 ‘0% 대 0%’ 협상 제안, 관세 면제 요청
캐나다 철강·식품 보복 관세 자동차 보복 관세
한국·일본 쿼터 합의 등 방어적 대응 정부 차원 협상 시도

중국 / 좌(1기) : BBC, 우(2기) : 한겨례
EU / 좌(1기) : 한경, 우(2기) : 이투데
캐나다 / 좌(1기) : BBC, 우(2기) : 연합인포맥스

 

중국과 캐나다는 1기와 동일하게 보복관세를 시행할 예정이고,

EU는 1기와 다르게 협상을 하려는 모습이다.

 

기업 대응 전략

구분 트럼프 1기 트럼프 2기
기업 반응 생산기지 다변화 (중국 → 동남아) 관세 회피국마저 고율 관세 → 미국 내 회귀 검토 확산
대표 흐름 “차이나+1” 전략 정착 미국 현지 공장 확대, 리쇼어링 본격화 

 

기업들은 1기에서 중국 리스크를 분산시키기 위한 생산기지 다변화를 추진했으나,

2기에서는 관세 회피가 불가능해지자 미국 내로 생산기지를 회귀하는 움직임이 더욱 뚜렷해졌다.

출처 :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1기 당시 미중 무역 전쟁으로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기업들의 동남아 이전
출처 : 현대자동차, 트럼프 2기 현대자동차 미국 투자

 

 

 

트럼프의 관세 전쟁 1기와 2기는 ‘미국 우선주의’를 공유하면서도 전혀 다른 목표와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1기에서는 협상의 카드로 활용된 반면,

2기에서는 관세 자체가 세금 확보, 산업 재편, 외교 압박 등 다목적 도구로 발전하여 글로벌 무역 환경에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변화의 시발점이 되는 듯하다.